ethtool eth0 //자세히 보기
ifconfig eth0 down //렌사용 안함
ifconfig eth0 up //렌사용 함
tracepath 168.126.63.1 //IP 추적
※ TTL
http://mirror.enha.kr/wiki/TTL
Time To Live
패킷의 유효기간을 나타내는 값. 패킷의 무한루프방지를 위한 기능으로 만들어 졌다.최대값 255를 가지며 라우터를 거칠때마다 1이 감소 0이 되면 폐기된다. 폐기될 경우 패킷 송신처에 폐기통지 발송.
패킷의 유효기간을 나타내는 값. 패킷의 무한루프방지를 위한 기능으로 만들어 졌다.최대값 255를 가지며 라우터를 거칠때마다 1이 감소 0이 되면 폐기된다. 폐기될 경우 패킷 송신처에 폐기통지 발송.
OS마다 기본 TTL값이 있기때문에 TTL값으로 OS를 유추해볼 수 있다. 하지만 원하는 TTL값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너무 신뢰하지 말자.
자신의 TTL값을 보고 싶으면
ping 127.0.0.1 를 실행해보자. 윈도사용자는 TTL=128 을 보여 줄 것이다. 리눅스 사용자라면 64.
ping 127.0.0.1 를 실행해보자. 윈도사용자는 TTL=128 을 보여 줄 것이다. 리눅스 사용자라면 64.
참고로 보안에 투자를 많이하는 기업경우에는 서버가 사용하는 OS를 유추하지 못 하게 기본 TTL값도 바꿔 놓는다고 한다. 국내의 경우엔 아에 ping을 막아버리지만... 네트워크 통신시에는 패킷에 TTL이 무조건 들어가므로 ping을 막아두든 열어두든 관련이 없다. 이 경우는 ICMP 프로토콜이 악용되는 경우를 막기 위한 것.
LINUX 50~60
WINDOW 122~
CISco 스위치 241
등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