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리눅스 2015. 4. 2. 15:44

네트워크체크 -> linux update -> selinux off -> APM 설치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

ifcfg-eth0, eth1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업서버만들기 rsync와 ssh  (0) 2015.11.20
[사이트]유용한 리눅스명령어 사이트  (0) 2015.11.18
포트 확인 법 등등  (0) 2015.11.06
yum으로 설치 시 문제  (0) 2015.04.02
리눅스 포털  (0) 2014.05.29
Posted by 월하노인
,

http://saoa.tistory.com/trackback/29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를 사용 할 때, 윈도우의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지원하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하지만,이 원격 데스크톱은 포트번호 3389를 기본으로 사용하게 끔 되어 있어, 이 특정 포트(3389)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포트번호로 설정을 변경 해야지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원격 데스크톱이 사용하는 포트가 열려 있는 경우와 특정 포트를 사용 하는 경우로 나눠서 설정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포트가 열려 있는 경우

포트가 열려 있는 경우는 매우 간단합니다.

1. 원격 설정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원격 설정 (왼쪽 매뉴 중)


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이 설정 창에서 우선 아래와 같이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 지원 연결 허용과 모든 버전의 원격 데스크톱을 선택합니다.


※ 원격 지원 연결 허용은 다른 컴퓨터에서 이 컴퓨터에 원격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 원격 데스크톱 항목은 원격 데스크톱에 연결할 수 있는 사용자를 지정합니다
.


2. 재부팅을 합니다.


특정 포트번호를 사용하는 경우




1. 원격 설정

원격 설정은 기본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와 같습니다.

2. 방화벽 예외 설정

기본 원격 데스크톱 포트번호가 아닌 다른 포트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윈도우 방화벽에서 예외 설정을 해야 합니다.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방화벽 -> 고급 설정 (왼쪽 매뉴 중)


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설정 창이 나타납니다.

아래 설정 창에서 인바운드 규칙을 선택 한 후 새 규칙을 선택 합니다.


규칙 종류에는 포트를 선택 합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TCP를 선택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포트 번호를 입력 합니다.
필자는 예를들어 "4000"으로 했습니다.


다음 화면인 작업과 프로필에서는 기본 설정을 선택 한 후 아래 그림과 같이 예외 포트번호에 알아보기 쉬운 이름을 적어 줍니다. 필자는 "원격"으로 했습니다.

 


3. 레지스트리 포트 번호 설정 변경
윈도우키 + R 을 눌러 아래와 같이 실행 창에서 "regdit" 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아래의 경로를 찾습니다.

  •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Terminal Server -> Wds -> rdpwd -> Tds ->  tcp
  •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Terminal Server -> WinStations -> RDP-Tcp


위의 두개의 레지스트리에 있는 PortNumber 속성을 찾아서 아래 그림과 같이 방화벽 예외로 등록 했던 포트 번호로 변경 합니다. 이 때 단위는 10진수를 선택 해야합니다.


4. 재부팅을 합니다.


특정 포트를 사용할 때 원격 데스크톱 사용하기

특정 포트번호를 사용할 때 원격 데스크톱 명령어에 포트번호를 추가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기존엔 11.32.42.33을 사용 했다면 
특정 포트번호를 설정한 경우 11.32.42.33:4000 과 같이 IP 번호 뒤에 : 과 포트 번호를 붙여야 합니다.


실행 창에서 "mstsc" 를 입력 한 후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포트번호를 추가하면 원격 데스크 톱에 연결 할 수 있습니다.



'Virtualization&Hypervisor > 윈도우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점검 프로그램  (0) 2015.04.02
Posted by 월하노인
,

test

카테고리 없음 2014. 9. 16. 17:13

test


my.cnf


Posted by 월하노인
,

http://blog.daum.net/jungsangun/7691206

시간 동기화가 잘 안되어 서버(Window Server 2008) 시간이 틀리는 것을 발견했다.

xp, windows 7 은  제어판의 "날짜 및 시간" 항목의 "인터넷 시간" 탭이 있어 동기화를 GUI환경에서 설정할 수 있는데

서버에는 없다.

 

명령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1. 먼저 시간동기화가 되는지 확인한다.
C:\>w32tm /resync

로컬 컴퓨터에 다시 동기화 명령을 보내는 중
사용 가능한 시간 데이터가 없어 컴퓨터가 동기화하지 못했습니다.

 

2. 현재 설정된 시간 동기화 정보확인
C:\>w32tm /query /configuration

[구성]

EventLogFlags: 2 (로컬)
AnnounceFlags: 10 (로컬)
TimeJumpAuditOffset: 28800 (로컬)
MinPollInterval: 6 (로컬)
MaxPollInterval: 10 (로컬)
MaxNegPhaseCorrection: 172800 (로컬)
MaxPosPhaseCorrection: 172800 (로컬)
MaxAllowedPhaseOffset: 300 (로컬)

FrequencyCorrectRate: 4 (로컬)
PollAdjustFactor: 5 (로컬)
LargePhaseOffset: 50000000 (로컬)
SpikeWatchPeriod: 900 (로컬)
LocalClockDispersion: 10 (로컬)
HoldPeriod: 5 (로컬)
PhaseCorrectRate: 7 (로컬)
UpdateInterval: 100 (로컬)


[시간 공급자]

NtpClient (로컬)
DllName: C:\Windows\system32\w32time.dll (로컬)
Enabled: 1 (로컬)
InputProvider: 1 (로컬)
CrossSiteSyncFlags: 2 (로컬)
AllowNonstandardModeCombinations: 1 (로컬)
ResolvePeerBackoffMinutes: 15 (로컬)
ResolvePeerBackoffMaxTimes: 7 (로컬)
CompatibilityFlags: 2147483648 (로컬)
EventLogFlags: 1 (로컬)
LargeSampleSkew: 3 (로컬)
SpecialPollInterval: 3600 (로컬)         -> 동기화 주기 초단위 3600=1시간
Type: AllSync (로컬)
NtpServer: time-nw.nist.gov,0x9 (로컬) -> 잘못된 시간동기화 서버 정보

NtpServer (로컬)
DllName: C:\Windows\system32\w32time.dll (로컬)
Enabled: 1 (로컬)
InputProvider: 0 (로컬)
AllowNonstandardModeCombinations: 1 (로컬)

 


3. 시간동기화 서버 변경
C:\>w32tm /config /manualpeerlist:"time.windows.com,0x9" /syncfromflags:MANUAL
명령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4. 시간동기화 서비스 멈추고
C:\>net stop w32time

Windows Time 서비스를 멈춥니다..
Windows Time 서비스를 잘 멈추었습니다.

 

5. 시간동기화 서비스 시작
C:\>net start w32time

Windows Time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Windows Time 서비스가 잘 시작되었습니다.

 

6. 시간동기화 실행
C:\>w32tm /resync


로컬 컴퓨터에 다시 동기화 명령을 보내는 중
명령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짜잘한거 > 자잘한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정] myslq 튜우닝  (0) 2014.07.10
메모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들 확인  (0) 2014.06.27
[설정]cmd diskpart  (0) 2014.06.25
[설정]파일 갯수 구하기  (0) 2014.06.24
[설정]mysql  (0) 2014.06.04
Posted by 월하노인
,

http://www.joinc.co.kr/modules/moniwiki/wiki.php/Site(좋은사이트)

http://snoopybox.co.kr/1676 (usb셋팅)

Posted by 월하노인
,

https://wiki.kldp.org/HOWTO/html/Adv-Bash-Scr-HOWTO/index.html

Posted by 월하노인
,

http://blog.mystor.net/archives/10.


‘MySQL을 나름 최적화 해보려고 구글링을 열심히 해봤는데 어려운 설명들만 있고 벤치마크를 해가면서 막 하는 선수들(?)의 글을 보면서 기껏해야 가상화에 블로그 끄적거리는 용도로 쓰는 서버에 정성을 들일 필요가 있나 싶어서 튜닝의 완성은 순정… 이라는 생각으로 기본값을 토대로 설정해 보았다.

CentOS 기준.

/etc/my.cnf 를 열면 참으로 간결한 기본 설정이 보인다.

이걸로는 세부적인 설정을 하지 못하는데 옵션 신텍스를 모르니 설정 관련 파일을 찾아봤다.

위 경로의 my.cnf 파일들을 하나하나씩 열어보면 서버의 자원에 맞춰 설정해놓은 기본 세팅이 있는데 그중 서버 환경에 맞는(RAM 기준) 파일을 CTRL+C / V 해서 설정했다. 참고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서버는 RAM이 1G 라서 my-larg.cnf를 선택했다. 설정할때 빼고 읽어보지 않을 주석은 깔끔하게 날리고 아래와 같이 수정 후 서비스를 리스타트. 끝.


Posted by 월하노인
,
ps auxwf | awk '{print$4,$11,$12,$13,$14}' | sort -r | head -9


'짜잘한거 > 자잘한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정]? Windows Server 2008 시간 동기화 설정  (0) 2014.07.28
[설정] myslq 튜우닝  (0) 2014.07.10
[설정]cmd diskpart  (0) 2014.06.25
[설정]파일 갯수 구하기  (0) 2014.06.24
[설정]mysql  (0) 2014.06.04
Posted by 월하노인
,

cmd


diskpart


list dis

//디스크 리스트


sel disk 1

//디스크 선택


clean

//초기화

Posted by 월하노인
,

http://nota.tistory.com/55

 find [디렉토리경로] -type f -name "[파일명규칙]" | wc -l

find . -type f -name "*.jpg" | wc -l

Posted by 월하노인
,